mmplz의 관심사 블로그

[왜?] 인구가 줄고 있는데 계속 늘어나는 주택(후편) 본문

일본어 뉴스기사 번역

[왜?] 인구가 줄고 있는데 계속 늘어나는 주택(후편)

mmplz 2019. 6. 27. 19:34

[?] 인구가 줄고 있는데 계속 늘어나는 주택(후편)

2019626일 파이낸셜 필드

 

일본인은 인구 감소시대에 돌입 했습니다만, 핵가족화에 따라 필요한 주택수는 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너무 늘어 버려서, 빈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어 있습니다. 20194월에 발표된 주택, 토지 총계의 조사결과로부터 주택의 현상태에 대해서 확인하여, 장래의 문제점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동경도는 주택도 인구도 계속 모이고 있다

전편에서 아래 주택수가 많은 도도부현별과 작은 도도부현별 표를 첨부 했습니다.

 

도표1

 

자료 : 총무성 주택, 토지총계조사 (헤이세이 10, 헤이세이30단위 :

 

도표2

 

20년전과 비교 해보면 20개 도도부현 모두 주택수가 늘었습니다만, 그렇게 사는 사람이 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동시기의 인구 변화도 조사해서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래 표에 기재된 도부현은 인구순도 인구 증가순도 아닌, 주택수의 표와 동일한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비율은 전국에 점유한 그 도도부현의 비율로, 증감숫자와 증감률은 1998년도와 비교한 2018년도의 숫자나 비율로 되어 있습니다.

 

도표3

동경도의 주택수의 비율은 12.3%이므로, 인구(10.9%)의 비율보다 1.4% 높고, 일본 전국의 1/8정도의 주택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 주택수는 20년간 1.0% 상승했습니다만, 인구는 주택수를 넘는 15%나 상승해 있습니다. 동경도의 경우, 20년간에 주택수가 200만호도 넘었습니다만, 인구가 199만명 늘은 점도 있어서, 주택수의 증가분을 흡수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장래의 인구증가에 대한 기대도 주택수에 영향을 주고 있을 것입니다.

 

가나가와현, 아이치현, 사이타마 등도 동경도와 동일한 모양으로 주택수도 인구도 증가 하였으며, 전국에 점유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홋카이도와 시즈오카현은 주택수도 인구도 많은 도현입니다만, 20년간에 주택수는 늘어났는데도 비율은 낮아져 있습니다. 인구가 감소하여, 전국 대비 주택수 비율은 58.5%가 되어, 20년간 56.9%에서 1.6% 높아져 있습니다. 그리고, 인구의 비율은 54.3%57.3%3.0% 높아져 있습니다. 20년은 주택도 인구도 이러한 도도부현에 집중되어 가는 상황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만, 앞으로는 어떨지요.

도쿠시마현은 인구가11% 줄은데 대해 주택이 19%증가

 

이번에는 주택수가 적은 도도부현의 인구 변화를 주택수와 연결해서 확인 해보겠습니다.

 

자료 : 총무성 인구 추계 (1998, 2018)” 단위 : 천명

 

도표4

주택수가 적은 도도부현은 인구도 적고, 돗토리현은 주택수가 26만호, 인구가 56만명으로 점유 비율은 0.4%밖에 안됩니다. 그리고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점은 인구가 줄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수가 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야마가타현은 20년간 주택수가 14.1% 늘은 것에 반해, 인구는 13.0%나 줄어 있습니다. 그 결과, 1채 당 인구를 계산 해보면 3.17명에서 2.42명으로 큰 폭으로 줄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1채 당 인구를 계산해보면, 표의 20도도부현에서 가장 많은 것이 야마가타현인 2.42, 다음이 사가현으로 2.32명으로, 가장 적은 곳은 코치현 1.801, 다음이 동경도의 1.803명으로 되어 있습니다. 주택수가 많은 도도부현은 2.17~1.80명의 범위, 적은 도도부현은 2.42~1.80명의 범위 이므로, 1채 당 인구는 주택수가 많고 적음은 그다지 관계가 없는 것 같습니다.

 

표를 작성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만, 일본의 인구는 2018(헤이세이 30) 101일과 1998(헤이세이10) 101일이 거의 동일(4.3만명 차이)합니다. 인구는 20년전으로 돌아가 버렸습니다만, 주택수는 1,217만호 (24.2%)나 늘어 있습니다. 주택만 24%나 늘어버리면 당연히 문제는 여러가지가 생깁니다. 요즘 나타나는 빈집 문제도 그 한가지 입니다.

 

중고주택의 유통활성화나 새롭게 짓는 주택수의 제한, 적극적인 해체법,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집필자 : 마츠우라 겐지

CFP( R ) 인정자

 

 

 

 

 

https://headlines.yahoo.co.jp/hl?a=20190626-00010005-ffield-life

 

Comments